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생명이 위협되는 충격적인 사건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이로 인해 사건 당시의 충격 반응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일상생활에 1개월 이상의 지장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진단은 1980년 미국정신의학회에서 정식으로 도입되었으며, 베트남전 참전용사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면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외상적 사건이 명확하게 확인되고, 이로 인한 심리적, 신체적 반응이 함께 나타나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신체적 외상을 외상이라 부르고, 심리적 외상은 트라우마라고 불립니다. 증상은 크게 심리적 반응, 신체적 반응, 그리고 행동적 특징으로 나뉩니다. 이 증상들은 자주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
- 재체험 증상 : 외상적인 경험을 반복적으로 상기하거나 악몽을 꾸는 것 증상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경험합니다.
- 회피 및 무감각 증상 : 외상과 관련된 환경, 상황, 감정을 피하고, 감각이 둔화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 과도한 강박과 고민 : 자신 또는 다른 사람에게 대한 안전, 과도한 걱정과 강박을 경험하며 외상과 관련된 고민이 계속됩니다.
- 수면 문제 : 악몽, 수면의 중단 또는 불규칙한 수면을 통해 수면 문제를 겪습니다.
- 분노 및 고통 : 분노, 예민성, 외로움, 무력감 및 비적응적인 동작을 통해 감정조절이 어렵습니다.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
- 인지행동요법(CBT) : CBT는 부정적인 사고 및 행동 패턴을 탐구하고 수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PTSD 환자는 외상 경험을 다르게 인식하고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 약물 치료 : 항우울제 및 항불안제와 같은 약물 치료는 PTSD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의사에 처방에 따라 사용됩니다.
- 심리치료 : 그룹 치료 또는 가족 치료를 통해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환자와 가족은 PTSD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 증상을 이해하고 어떻게 대처할지 배워야 합니다.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 방법
- 통찰 : 외상의 원인과 증상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상을 바라보고 어떻게 그것을 극복할지 고민하는 것은 치료 과정의 일부 입니다.
- 자기 돌봄 : 건강한 생활습관, 정기적인 운동, 규칙적인 수면,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통해 신체와 정신적인 건강을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원 시스템 구축 : 가족과 친구의 지원, PTSD 환자 그룹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은 치유 과정울 돕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 전문가 지원 : 전문가의 도움과 지도를 받는 것은 치료와 극복의 핵심입니다.
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다른 정신질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해 다른 정신질환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우을증이나 공황장애와 같은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알코올 사용 장애와 같은 중독성 문제, 수면제 남용, 분노 조절이나 충동 조절에 어려움과 같은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인해 정신적인 안정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다른 정신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초기에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약물치료 및 정신 치료를 통해 종합적인 치료 방법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울증 자가진단
우울증 자가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우울증이란 우울증이란 기분이 우울한 상태가 지속되는 정신과 질환으로 우울감의 의욕상실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다양한 인지 및 신체적,
itv1007.tistory.com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황장애란 공황 발작 중 사람들은 심장 두근거림, 발한, 떨림, 숨가쁨, 흉통, 권태감, 메스꺼움, 현기증, 숨이 막히는 느낌 등 많은 종류의 사람의 몸적
itv1007.tistory.com
갱년기 테스트기 사용방법 갱년기 증상 자가진단
갱년기 테스트기 사용방법 갱년기 증상 자가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갱년기란?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소가 노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면 여성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고 배란이 안되는데
itv1007.tistory.com
'일상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0) | 2024.02.06 |
---|---|
갱년기 골다공증 (0) | 2024.02.05 |
무좀 예방 및 치료법 (1) | 2024.02.04 |
초미세먼지 원인과 문제점 (1) | 2024.02.03 |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내용 (0)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