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무좀 예방 및 치료법

by 푸름하 2024. 2. 4.
반응형

무좀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무좀이란

 

무좀은 물집과 좀벌레에서 앞말을 하나씩 따온 우리말입니다. 무좀은 곰창이에 속하는 피부 사상균이 유발하는 표재성 감염증인 피부 진균증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로 이 피부사상균들은 피부 각질층을 녹일 수 있는 효소를 갖고 있으며, 여러 조직애 침범하여 각질을 영양분 삼아 생존하고 환부에 여러 증상들을 유발합니다.

 

 

 

 

 

 

2. 무좀 원인

 

  • 유전적 요인
  • 환경 요인(습도, 환경 오염 등)
  • 피부 건강 관리 부족
  • 식품 알레르기
  • 스트레스

 

 

 

 

 

 

 

3. 무좀 증상

 

  • 지간형 : 발가락 사이 피부가 짓무르고 습기에 불어 허옇게 되거나 갈라지며 각질이 벗겨지기도 합니다. 발가락 사이가 가렵고 따끔거리는 증상이 동반됩니다.
  • 수포형 : 발바닥과 발가락에 물집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물집은 맑은 액체가 들어 있는 거서이 일반적이지만, 염증이 심해지면 붉은 액체가 들어 있는 물집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물집이 터지면 피부가 벗겨지고 짓무르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각화형 : 발바닥 전체에 각질이 생기고 피부가 두꺼워지는 게 특징입니다. 냄새가 없고 가렵지도 않아서 무좀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치하면 두꺼워진 각질이 마른 논바닥처럼 갈라지고 피가 나게 됩니다.

 

 

 

 

 

 

 

4. 무좀 치료

 

  • 피부염을 진정시키는 스테로이드 크림의 사용
  • 필요한 경우 항셍제나 항염증 약물의 복용
  •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습제 사용
  • 면역 억제제의 사용

 

 

 

 

 

 

5. 무좀 예방법

 

  • 무좀 부위를 연속적으로 씻고 잘말린다 : 발에 무좀이 걸린 그럴 경우 하루 2회에서 3회정도 씻어주고 드라이기나 선풍기 등으로 발가락 사이사이를 물기가 없이 말려줍니다. 무좀은 습기 있는 환경을 좋아하므로, 물기가 없이 꼼꼼히 말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는다 : 여름철은 땀이 많이나게되고 이는 무좀이 번식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그러기 떄문에 통풍이 잘되는 신발으 신게 되면 무좀이 더욱 더 번식하게 되는 환경을 마련해 줍니다.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고 양말로 땀을 즉시 흡수시켜야합니다.
  • 피부과 방문 : 무좀은 방치할수록 병이 커지고 빨리 치료할수록 치료기간도 짧고 돈도 적게 듭니다. 또한 먹는 무좀약은 사람에 따라 간에 엄청난 무리를 줄 수 있는 독한 약이기 때문에 될 수 있도록이면 무좀을 발견하면 빠르게 피부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권고사항

 

  • 일상적인 피부 관리 및 보습 활동을 꾸준히 수행
  • 의사에 지시에 따라 치료 계획을 지속적으로 이행
  • 알레르기 테스트를 통해 알레르기를 조절하고 피하려는 노력
  •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스트레스 관리

 

 

 

 

하지정맥류 수술

하지정맥류 수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하지정맥류란 하지정맥류는 정맥이 비틀어지거나 부풀어 오른 것처럼 보이는 정맥이 커지고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주로 다리에 나타납니다. 이 질

itv1007.tistory.com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은 우리 눈에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여 눈 표면이 건조하고 따가우며, 종종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눈물막

itv1007.tistory.com

 

 

 

귀 이명 원인

귀 이명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귀 이명이란 이명은 외부 소리가 없는데도 소리가 들리는 현상입니다. 귀에서 울리는 소리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윙윙거리는 소리, 휘파람 소리, 쉿

itv1007.tistory.com

 

 

'일상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골다공증  (0) 2024.02.0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및 치료법  (2) 2024.02.05
초미세먼지 원인과 문제점  (1) 2024.02.03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내용  (0) 2024.02.02
겨울철 수도 동파 예방  (2) 2024.0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