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복주택이란?
청년(19세∼39세·신혼부부·대학생 등 젊은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국가 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에 주변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공급 부족으로 부동산 분양가는 상승 중이며, 부동산 규제 등 사유로 인하여 서민들의 꿈을 실현하기는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에서 주거안정사업 정책 및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외곽지역에 위치하는 희망주택에서 도심내 접근성이 우수한 행복주택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이는 사회초년생과 더불어 신혼부부에게 주거에 대한 분안을 해소해 주기위한 것은 물론 임대료에 관한 부담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포함합니다.
이 제도는 주변에 비해 60%부터 80%정도로 저렴한 임대료로 분양 물건의 전체 약 20% 배정을 해줍니다.
월비용이 낮은 공공임대주택을 말하며, 거주 기간은 최대 30년 전용면적 60㎡이하 공동주택을 평균 시세에 최대에 80%대 제공을 합니다.
lh 행복주택 입주대상
1. 자격요건
- 무주택요건 및 소득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산단근로자 등
2. 소득기준
- 해당세대의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 100%이하인 자
3. 자산기준
- 보유 부동산(건물+토지), 자동차의 가액이 기준금액 이하인 자
(총자산)36,100만원이하(2023년도 기준)
(자동차)3,683만원이하(2023년도 기준)
4. 임대료
- 시세대비 60~80%
5. 거주기간(최대)
- 대학생 청년(6년)
- 신혼부부(6~10년)
- 주거급여수급자 고령자(20년)
'일상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경로우대 (0) | 2023.08.01 |
---|---|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방법 (0) | 2023.07.24 |
실거주 의무 폐지 현황 (0) | 2023.07.14 |
동원 예비군 기간 및 준비물 연기신청 (0) | 2023.06.05 |
신한 알뜰교통카드 및 후기 (체크 카드) (1) | 2023.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