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겨울철 수도 동파 예방

by 푸름하 2024. 2. 1.
반응형

겨울철 수도 동파 예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도계량기 및 수도 배관 동파 원인

 

추운 겨울철에는 강한 바람이나 눈으로 인해 수도배관 주변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면 동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도배관 동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보온 미비입니다. 겨울철 낮은 기온으로 수도배관에 흐르는 물이 얼음으로 변하면서 동파가 발생합니다. 또한, 수도배관 주변에 충분한 보온재가 없으면 열이 외부로 쉽게 방출되어 동파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수도계량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거나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면 동파의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누수가 발생하면 물이 배관 주변으로 샌 후 얼어붙을수 있고, 배관이 고정되어 물이 정지될 경우에도 동파의 위험이 있습니다.

 

 

 

 

 

 

 

2. 겨울철 수도 동파 예방 방법

  • 수도관의 단열 : 수도관이 노출되어 있다면 단열재를 감싸 주어야 합니다. 특히 외부에 설취된 수도관이나 지하실, 창고 등 온도가 낮아지기 쉬운 공간의 수도관은 단열재로 꼼꼼히 감싸주어야 합니다.
  • 실내온도 유지 :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실내온도를 13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외출할 때도 난방을 완전히 끄지 않고 약간은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 수도관 물빠짐 방지 : 외출이나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수도관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완전히 끄고 수도관을 여는 수도꼭지를 열어 물이 다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물 흐르게 하기 : 수도관이 동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장 간단한 방법은 약하게나마 물을 흐리게 하는 것입니다. 물이 계속 흐르고 있으면 물이 얼어 수도관이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실외 수도꼭지 단열 : 실외 수도꼭지는 단열 커버를 이용해 보온할 수 있습니다. 단열 커버가 없다면 두꺼운 천이나 랩 등으로 감싸 줄 수도 있습니다.
  • 배관경로 및 틈새 확인 : 집의 틈새나 문 밑으로 찬바람이 들어오는 곳, 수도관이 있는 외벽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보온재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겨울철 수도 동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겨울철 동파로 인한 수도 파열이 발생했을 경우 대처방법

  • 주 수도밸브를 닫습니다 : 먼저,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해 주 수도밸브를 닫아 줍니다. 이렇게 하면 추가적인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 연락 : 수도관이 파열된 상태로 두면 집이나 건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빠르게 수도공사를 수행하는 전문가나 관련 업체에 연락하여 수리를 요청해야 합니다.
  • 수도사업소 혹은 관리사무소에 알리기 : 주거하시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수도사업소 혹은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연락하여 상황을 알립니다.
  • 보험회사 연락 : 만약 수도관 파열로 인한 피해가 큰 경우,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상황을 알리고 보험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적정온도

겨울철 실내적정온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이 되면 실내 온도와 습도 관리는 우리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는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감기,

itv1007.tistory.com

 

 

 

자동차 배터리 방전

자동차 배터리 방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동차 배터리 방전 원인 급격한 온도차 : 흔히 자동차 배터리 방전의 원인에 대해 겨울철 낮은 기온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배

itv1007.tistory.com

 

2023.12.07 - [일상 생활] -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 TPMS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라는 의미입니다. 휠 배부의 센서가 타이어 속 공기압과 온도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알

itv1007.tistory.com

 

'일상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미세먼지 원인과 문제점  (1) 2024.02.03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내용  (0) 2024.02.02
생활지원사 자격증  (1) 2024.01.31
자동차 에어컨 필터  (0) 2024.01.30
요양보호사 보수교육  (1) 2024.01.29

댓글